말씀노트

사도행전 2장의 배경에 대하여

믿음의 상속자 2024. 6. 21. 02:38

우리는 사도행전 2장의 오순절을 성령강림절에 주목하여 제자들이 모여 기도할때 성령이 임하는 내용으로만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도행전 2장 5절에서는 "경건한 유대인들이 천하 각국으로부터 와서 예루살렘에 머물러 있더니" 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날의 배경은 본문을 이해 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은 위키백과사전의 내용이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C%88%9C%EC%A0%88)

오순절

오순절(五旬節, 고대 그리스어: Πεντηκοστή, 영어: Pentecost)은 성령의 강림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축일이다. 어원은 '50'인데, 예수의 부활 이후 50일째(부활하신 날까지 쳐서)되는 날에 성령이 강림한 것이 그 유래다. 

원래는 유대인들이 처음 수확한 농산물을 바치는 날을 말한 것인데,[1][2] 유월절과 무교절 후에 오는 초실절로부터 50일째 되는 날인 칠칠절이 변역되어 오순절로 정착되었다.[3] 

유대인들은 이날을 모세가 율법을 받으러 시내산에 올라간 날(Shavuot)로도 기념한다.[4] 

신약성경에 따르면 예수 이후부터는 오순절이라는 명칭으로 기념되기 시작했다. 예수의 부활로부터 50일째 되는 날 그의 제자들이 모인 곳에 성령(聖靈)이 강림하자,[5] 이들이 성령에 충만하게 되어 전도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으므로 이 날을 성령 강림 대축일, 성령강림절, 또는 성령강림주일이라고도 한다.[6] 사실상 기독교 초대교회의 성립일로 여겨지고 있다.

어 원


오순절은 한자로 다섯 번의 열흘(旬:열흘 순)이 지난 날이라는 의미다.

70인역 성경에서 '50번째'라는 뜻의 '펜테코스테(Πεντηκοστή)'로 옮긴 것을 중역한 것이다. 70인역에서는 레위기 23장에서 50번째 되는 날인 칠칠절을 나타낼 때,[7] 그리고 레위기 25장에서 50번째 해가 되는 희년을 나타낼 때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8][9] 

필론과 요세푸스 등 헬레니즘 유대인들 역시 이 단어를 사용하였으며,[10] 가톨릭 정경인 토비트와 마카베오하에서도 이 단어를 사용했다.[9][11][12]

성경적 의의
초실절(=부활절)날 첫 열매로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부활 후 40일째에 승천하시면서 오순절까지 예루살렘에서 약속한 성령을 기다리라고 말씀하셨다.[13] 

구약의 절기였던 칠칠절은 하나님께 십계명과 율법을 받아온 날이다. 칠칠절에 십계명과 율법을 주신 것처럼, 오순절에 약속된 성령을 주셔서 하루에 3천, 5천명씩 많은 영혼들이 구원 받게 되어 교회에 큰 부흥이 일어나고, 방언의 능력으로 이방인들에게까지 복음이 전파되었다.[14] 사도 베드로는 오순절 성령이 요엘 선지자의 예언이 이루어졌다고 설교하였다.[15]

그 후에 내가 내 신(저자 주: 성령)을 만민에게 부어 주리니 너희 자녀들이 장래일을 말할 것이며 너희 늙은이는 꿈을 꾸며 너희 젊은이는 이상을 볼 것이며— 요엘 2:28


그래서 많은 기독교에서 오순절을 성령 받는 날로 인식하고 있다.[16] 또한 바벨탑 사건으로 사람들의 언어가 갈라지게 되었는데, 오순절 성령으로 인하여 다시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된 사건으로 인식하고 있다.[17]

오순절에 관한 배경 지식
초대교회 그리스도교인들은 대부분 유대인이었는데, 이는 전 세계로 복음을 전파하는데 언어적인 어려움이 존재했다.[18]
오순절 이전에는 이방인(유대인 이외의 자)들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지 않고, 유대인들에게만 복음을 전하였고, 오순절 이후부터 이방인들에게도 전하게 된 것이다.[19]
예수님께서 핍박 당하시고 승천하신 이후에도 제자들에게도 핍박이 존재했으나, 오순절 성령 이후 스데반 등 성령의 힘으로 이겨내는 모습들이 나타났다.[20]


신약 성경에 등장하는 오순절
초대 교회 성도들이 오순절 예배 드리는 장면
오순절날이 이미 이르매 저희가 다같이 한 곳에 모였더니

— 사도행전 2:1
사도 바울이 예루살렘에서 오순절을 지키기 위해서 급히 가는 모습
바울이 아시아에서 지체치 않기 위하여 에베소를 지나 행선하기로 작정하였으니 이는 될 수 있는 대로 오순절 안에 예루살렘에 이르려고 급히 감이러라

— 사도행전 20:16
사도 바울이 오순절을 에베소에서 지키려는 모습
내가 오순절까지 에베소에 유하려 함은

— 고린도전서 16:8
성령강림주일 성서정과
아래 성령강림주일 성서정과(성서일과 聖書日課)는 현재 세계교회에서 사용하는 RCL(Revised Common Lectionary, 개정공동성서정과)에 근거한 것으로, 교파별로 큰 차이가 없다.

사도행전 2:1-21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고린도전서) 12:4-13
요한복음 20:19-23
사도행전 10:44~48

같이 보기
성경의 절기
칠칠절
초실절
나팔절
희년
오순절주의

-----------------------------------------------------------------------------------------
각주[편집]

  1.  “개역한글판/출애굽기 34:22”. 칠칠절 곧 맥추의 초실절을 지키고
  2.  “개역한글판/민수기 28:26”. 칠칠절 처음 익은 열매 드리는 날에 너희가 여호와께 새 소제를 드릴 때에도 성회로 모일 것이요 아무 노동도 하지 말 것이며
  3.  “개역한글판/히브리서 7:12”. 2020년 3월 21일에 확인함. 제사 직분이 변역한즉 율법도 반드시 변역하리니
  4.  출애굽기 19장 1,11,16절
  5.  사도행전 2장
  6.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펜테코스테(오순절)〉
  7.  “성경/사전/주석 - 두란노닷컴”. 2022년 12월 5일에 확인함.
  8.  Leviticus 25:10
  9. ↑ 이동:가  Gerhard, Kittel; Friedrich, Gerhard; Bromiley, Geoffrey William, 편집. (2006). 〈Pentecost〉.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번역 Geoffrey William Bromiley.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ISBN 978-0-8028-2243-7.
  10.  Danker, Frederick W; Arndt, William; Bauer, Walter (2000).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03933-6.
  11.  Bromiley, Geoffrey William, 편집. (2009). 〈Pentecost〉.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2판. Grand Rapids, Michigan: W.B. Eerdmans.
  12.  Tobit 2:12 Maccabees 12:32
  13.  “개역한글판/사도행전 1:4-5”. 2020년 3월 21일에 확인함. 사도와 같이 모이사 저희에게 분부하여 가라사대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내게 들은 바 아버지의 약속하신 것을 기다리라 요한은 물로 침례를 베풀었으나 너희는 몇 날이 못되어 성령으로 침례를 받으리라 하셨느니라
  14.  “오순절 - 초대교회 사도들과 성도들이 성령을 허락받은 날”. 2018년 5월 17일. 2020년 3월 21일에 확인함.
  15.  “개역한글판/사도행전 2장 16-18”. 2020년 3월 21일에 확인함.
  16.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이 왜 중요할까”. 2018년 1월 2일. 2020년 3월 21일에 확인함.
  17.  “성경 -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 주석”. 2017년 6월 18일. 2020년 3월 21일에 확인함.
  18.  “성경 -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 주석”. 2017년 6월 18일. 2020년 3월 21일에 확인함. 제자들이 말할 때에 자기들이 살고 있는 나라의 말로 알아들을 수 있다는 사실에 대단히 놀라며 신기해한다(7절a). 사람들은 “말하는 사람들이 다 갈릴리 사람이 아니냐?”라고 말한다(7절b). “갈릴리 사람”이라는 표현에는 교육을 받지 못해서 외국어를 말하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전제가 놓여 있다(참고. 4:13; 막 14:70). 사람들은 또한 “우리가 우리 각 사람이 난 곳 방언으로 듣게 되는 것이 어찌 됨이냐?”라고 말한다(8절).
  19.  “개역한글판/사도행전 10:45-47”. 2020년 3월 21일에 확인함. 베드로와 함께 온 할례 받은 신자들이 이방인들에게도 성령 부어 주심을 인하여 놀라니 ... 베드로가 가로되 이 사람들이 우리와 같이 성령을 받았으니 누가 능히 물로 세례 줌을 금하리요 하고
  20.  “개역한글판/사도행전 7장”. 2020년 3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