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ענה 아나 anah H6031 (사자가) 기가 꺽이다, 괴롭히다, 시달리다, 학대하다, 굴복시키다, 자신을 낮추다, 욕을 보이다, 쇠약하게 하다, 스스로 낮아지다. 아나(동사)는 기본 어근으로, 구약성경에서 84회 나온다. (a) (칼형) '~에 여념이 없다, ~에 바쁘다'. (b) '괴롭히다, 시달리게 하다, 억압하다, 학대하다, 천하게 하다(낮추다), 욕(수치)을 보이다, 굴복되다'. (1) (칼형) ① '억제되다, 낮아지다'. ② '(사자가) 기죽다, (사자가) 기가 꺽이다'(사 31:4). ③ '고통받다, 시달리다'(전 1:13, 전 3:10). ④ '굴복시키다'. (2) (니팔형) ① '자신을 낮추다, 굴복하다'. ② '고통당하다, 시달리다, 겸손해지다'. (3) (피엘형) ① '비하하다, 거칠게 다루다, 학대하다(창 16:6), 괴롭히다'(욥 37:23). ② '욕을 보이다(신 21:14, 신 22:24, 신 22:29 등), 욕(수치)를 당하다'(창 34:2). ③ '괴롭히다(창 15:3, 출 1:12, 민 30:13, 삿 16:19 등), 굴복시키다'(삿 16:5; 삿 16:6)'. ④ '자신을 낮추다(출 10:3, 신 8:2, 3, 16 등), 쇠약하게 하다'(시 102:23). (4) (푸알형) ① '스스로 괴롭히다'. ② '(금식으로) 스스로 낮아지다'(레 23:29). (5) (히필형) '괴롭히다, 시달리게 하다'. (6) (히트파엘형) ① '자신을 낮추다(스 8:21, 단 10:12), 굴복시키다'(창 16:9). ② '고통당하다, 시달리다'. (참조: BDB). |
![]() ~하기에 바쁘다, 괴롭히다, 천하게 하다 아나(동사)는 기본어근이며, (a) '~에 종사하다, ~에 빠지다, ~하기에 바쁘다', (b) '괴롭히다, 압제(박)하다, 천하게 하다'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약 80회 나오며, 칼, 니팔, 피엘, 푸알, 히트파엘형으로 사용되었다. (a) 아나는 '~에 종사하다, ~하기에 바쁘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전 1:13, 전 3:10). (b) 아나의 원래 의미는 주로 피엘형에서 '억지로 ... 시키다' 혹은 '강제로 복종시키려 하다, 벌하다' 혹은 '...에게 고통을 가하다'이다. 비르케란드(Birkeland, 참고문헌을 보라)는 이 동사의 의미를 '자신의 위축된, 천한, 낮은 지위를 알다'로 정의한다. 따라서 이 단어는 칼형에서 하나님에게 사용되지 않는다. 아나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사용된다. 아무가 그의 대적에게 행하는 것에 대해 사용된다. 이 단어는 사라가 하갈에게 가한 학대(출 16:6)와 무법한 자가 방어할 수 없는 자에게 행하는 일(출 22:22)에 대해 사용한다. 이 단어는 차꼬가 요셉의 발목에 가하는 고통에 대해 사용한다(시 105:18). 이 단어는 애굽이 이스라엘에게 행한 것을 나타낸다(출 1:11-12, 이것은 고역 이상이었다). 민 24:24과 사사기에서 이 단어는 전쟁이 가져온 물리적 고통을 묘사한다. 이 단어는 하나님께서 그의 대적들에게 행하신 것을 묘사한다(신 26:6). 하나님께서는 회개를 불러 일으키기 위해 고통을 사용하신다. 예를 들어 광야 방랑의 목적은 이스라엘의 오만한 콧대를 꺽기 위함이었다(신 8:23). 이는 성경에서 반복되어 나오는 주제이다. 바벨론 유수도 성격과 목적에 있어서 이와 유사한 것으로 여겨진다(시 102:23, 사 64:12, 슥 10:2). 그러므로 고생으로 인하여 하나님에게 감사를 한다(시 88:7; 시 90:15; 시 119:75; 애 3:33). 구경꾼들은 하나님이 메시야에게 그 죄로 인하여 고난을 주신다고 그릇되이 말한다(사 53:4). 이 단어와 자주 연관되는 또 다른 신학적 주제는 완전한 통회를 표현하고 종종 금식을 동반하는 스스로 가한 내적 고통이다. 하나님께서는 속죄일에 이를 명령하신다(레 16:29, 레 16:31). 하나님께 이와 같은 금식과 통회를 명령하신 때는 오직 이때 뿐이라는 사실은 놀랍다. 이 단어의 니팔형 용법은 재귀적 용법으로, 자기 고생을 강조한다(시 119:107, 사 58:10). 메시야는 그의 백성들의 죄를 인하여 자신이 고난 당해야 했다(사 53:7). 다른 한편 여기에서 이 동사는 메시야께서 친히 불경건한 자의 압제에 굴복함으로 스스로 낮아지시는 것을 나타낸다. 시편 기자는 이 개념을 사용하여 심지어 그의 대적을 위한 그의 염려의 정도로 강조한다(시 35:13). 히트파엘 어간은 질책에 복종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창 16:9), 금식과 통회를 나타내는 데(스 8:21, 단 10:12) 사용된다. 이 어근은 천하게 하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젊은 사자는 목자의 목소리에 굴하지 않는다(사 31:4, 참조: Ugaritic Ⅲ AB. B[UT 16: text 137] 24, 26). 바로는 하나님께 굴복하려하지 않는다(니팔형, 출 10:3). 심판은 하나님에 의하여 낮추어지지 않는다(그리고 따라서 방해 받지 않는다)(욥 37:23). 시편 기자는 하나님께서 그의 힘을 약하게 하셨으며(낮게 하셨으며) 그의 날을 단촉케 하셨다고 말한다(시 102:23). 사람은 얽매는 서원(맹세)로 인하여 영혼을 좌절시키거나 낮출 수 있다(민 30:13, "무릇 마음을 괴롭게 하려는 서약"). 이 동사는 후에 버림받은 포로된 여인의 경우와 같이 여자를 강제로 욕보이는 것(신 21:14)에 대해 사용되며, 그리고 혼전 성관계에도 적용된다(신 22:29 "욕보였은즉", 창 34:2 "욕되게 하고"). 이러한 행위는 사형에 처할 만한 중대한 범죄가 될 수도 있다(신 22:24). (참조: L. J. Coppes). |
![]() H6030 * עָנָה (ʿānāh) anah see G471 * ἀντει̑πον (anteipon) st. ant eipon anah G191 * ἀκούω (akouō) akouo anah G436 * ἀνθίστημι (anthistēmi) anth istemi anah G470 * ἀνταποκρίνομαι (antapokrinomai) ant apo krinomai anah G478 * ἀντικαθίστημι (antikathistēmi) anti kath istemi anah G612 * ἀπόκρισις (apokrisis) apo krisis anah G757 * ἄρχω (arkhō) archo anah G1502 * εἴκω (eikō) eiko anah G1905 * ἐπερωτάω (eperōtaō) ep erotao anah G2639 * καταλέγω (katalegō) kata lego anah G2649 * καταμαρτυρέω (katamartureō) kata martureo anah G3140 * μαρτυρέω (martureō) martureo anah G5013 * ταπεινόω (tapeinoō) tapeinoo anah G5271 * ὑποκρίνομαι (hupokrinomai) hupo krinomai anah G5274 * ὑπολαμβάνω (hupolambanō) hupo lambano anah G5350 * φθέγγομαι (phtheggomai) phtheggomai anah G5576 * ψευδομαρτυρέω (pseudomartureō) pseudo martureo anah ni. G1788 * ἐντρέπω (entrepō) en trepo anah pi,qqal,ni G2559 * κακόω (kakoō) kakoo anah pi. G1863 * ἐπάγω (epagō) ep ago anah pi. G2549 * κακία (kakia) kakia anah pi. G3947 * παροξύνω (paroxunō) par oxuno anah pi. G4531 * σαλεύω (saleuō) saleuo anah pi.,hithp. G2558 * κακουχέω (kakoukheō) kakoucheo anah pu. G2561 * κάκωσις (kakōsis) kakosis anah qal,hi G5219 * ὑπακούω (hupakouō) hupakouo anah qal,ni,pi see G611 * ἀποκρίνομαι (apokrinomai) st. apo krino anah qal,ni,pi G1522 * εἰσακούω (eisakouō) eis akouo anah qal,ni,pi,pu G5013 * ταπεινόω (tapeinoō) tapeinoo anah qal.,hi. G4049 * περισπάω (perispaō) peri spao anah qal.,ni. G1873 * ἐπακούω (epakouō) ep akouo |
아나(H6031 ענה )는 사전의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동사의 형태에 따라 단어의 뜻을 찾아야 한다.
출 10:3의 아나(H6031 ענה )는 니팔형이다.
다음은 구약에 사용된 용례들이다.
'말씀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 6:50 "τις" 가 가리키는 것은 무엇일까? (0) | 2025.04.13 |
---|---|
sea dead psalms scroll> 시 133:1- (110 Psalms a) (2) | 2025.01.05 |
BHS & BHQ 창 1:1 비교 노트 1 (0) | 2025.01.01 |
BHQ com1> 여호수아 5:2의 "할례를 행하다" (0) | 2024.12.29 |
사도행전 2장의 배경에 대하여 (0) | 2024.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