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불의 혀 처럼 갈라지는 것들이 그들에게 보여 각 사람 위에 하나씩 임하여 있더니(행 2:3)


위 헬라어 사본들도 같은 문장으로 표현하고 있다.

대한 성서 공회에서 출간된 ubs4 헬라어 성경의 주석에서는

를 주석해 주고 있다.거룩한 --- 나타남에 대한 주석을 마 3:11, 눅 2:16
마태복음 3:11에서는 성령과 불로 표현한 것을 가리킨다.

"나는 너희로 회개하게 하기 위하여 물로 세례를 베풀거니와 내 뒤에 오시는 이는 나보다 능력이 많으시니 나는 그의 신을 들기도 감당하지 못 하겠노라 그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베푸실 것이요"
누가복음 2:16에서는 예수님이 탄생하시는 상황에서 목자들에게 천사들이 나타나 아기 예수의 탄생의 소식을 듣고 그것을 확인하고 이 아기에 대하여 천사들이 말한 내용을 다른 목자들에게 전하는 상황이다. " 빨리 가서 마리아 와 요셉 과 구유에 누인 아기를 찾아서" --- 보고 천사가 자기들에게 이 아기에 대하여 말한 것을 전하니... (17)


이 본문은 성령 임재의 표현으로 사도들이 모여 있을때 성령이 나타나는 상황을 묘사해주는 문장이다.
한글 개역 개정에서는 "불의 혀처럼 갈라지는 것들"이라고 표현되어 있으나 공동 개정역성서에서는 "혀같은 것들이 나타나 불길처럼 갈라지며" 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헬라어 성경 본문에서는 혀가 복수로 표현되고 있다.
3 καὶ ὤφθησαν αὐτοῖς διαμεριζόμεναι γλῶσσαι ὡσεὶ πυρός, καὶ ἐκάθισεν ἐφ' ἕνα ἕκαστον αὐτῶν,
여기서 사용된 혀 γλῶσσαι 라는 단어를 사전적으로 정의하여 보자.
![]() - Original: γλῶσσα - Transliteration: Glossa - Phonetic: gloce-sah' - Definition: 1. the tongue, a member of the body, an organ of speech 2. a tongue a. the language or dialect used by a particular people distinct from that of other nations - Origin: of uncertain affinity - TDNT entry: 12:59,1 - Part(s) of speech: Noun Feminine - Strong's: Of uncertain affinity; the tongue; by implication a language (specifically one naturally unacquired): - tongue. Total KJV Occurrences: 48 - 원본: γλῶσσα - 음역 : Glossa - 음성학적: 글로체-사' - 정의: 1. 혀, 몸의 지체, 말하는 기관 2. 혀 :. 특정 민족이 사용하는 언어나 방언은 다른 나라의 언어나 방언과 구별됩니다. - 출신 : 불확실한 친화성 - TDNT 번호: 12:59,1 - 품사 : 명사 여성형 - Strong's: 불확실한 친화력; 혀; 암시적으로 언어(구체적으로 자연적으로 습득되지 않은 언어): - 혀. 총 KJV 발생: 48 혀, 23 막 7:33; 막 7:35; 눅1:64; 행 2:26; 롬 14:11; 고전 14:2; 고전 14:4; 고전 14:9; 고전 14:13; 고전 14:14; 고전 14:19; 고전 14:26; 고전 14:27; 빌 2:11; 약 1:26; 약 3:5; 약 3:6(2); 약 3:8; 벧전 3:10; 요일 3:18; 계 5:9; 계 14:6 방언, 25 행 2:3; 행 2:4; 행 2:11; 행 10:46; 행 19:6; 롬 3:13; 고전 12:10(2); 고전 12:28; 고전 12:30; 고전 13:1; 고전 13:8; 고전 14:5(2); 고전 14:6; 고전 14:18; 고전 14:22; 고전 14:23; 고전 14:39; 계 7:9; 계 10:11; 계 11:9; 계 13:7; 계 16:10; 계 17:15 |
위의 사전적 의미로 보면 "혀"란 의미도 있지만 방언(지역언어, 사투리)를 뜻하는 의미로도 사용되고 있다.
![]() γλῶσσα, ης, ἡ (Hom.+; ins, pap, LXX, En; TestJob 43:12; Test12Patr; JosAs 13:8; GrBar 3:6; ApcSed; AscIs 3:18; Philo, Joseph., Just., Tat.) organ of speech, tongue lit. (Did., Gen. 88, 26) Lk 16:24; as an organ of speech (Iambl., Vi. Pyth. 31, 195 χαλεπώτατόν ἐστιν τὸ γλώττης κρατεῖν; Did., Gen. 46, 26 ὄργανον λόγου ἐστὶν ἡ γ.) Mk 7:33, 35; (Vi. Aesopi I G 7 P.: Isis heals the mute Aesop τὸ τραχὺ τῆς γλώττης ἀποτεμοῦσα, τὸ κωλῦον αὐτὸν λαλεῖν ‘cutting off the rough part of his tongue that prevented him from speaking’) Lk 1:64; Ro 3:13 (Ps 5:10; 13:3; cp. Hes., Op. 322–26); 14:11 (Is 45:23); Js 1:26; 3:5f, 8 (Apion in the schol. on Od. 3, 341 κράτιστον τῶν μελῶν ἡ γλῶσσα.—JGeffcken, Kynika usw. 1909, 45–53; GAvdBergh vEysinga, NThT 20, ’31, 303–20). 1J 3:18; διὰ τῆς γ. w. the tongue, i.e., in speaking 1 Cor 14:9 (Just., A I, 16, 8 διὰ γλώττης). παύειν τὴν γ. ἀπὸ κακοῦ keep the tongue from (saying) evil things 1 Pt 3:10; 1 Cl 22:3 (both Ps 33:14). Synon. στόμα 35:8 (Ps 49:19); Rv 16:10; 1 Cl 15:4f (Ps 77:36; 11:4f). τὸ ἐπιεικὲς τῆς γ. moderation of the tongue 21:7. μάστιξ γλώσσης words of reproof 56:10 (Job 5:21). Conceited speech 57:2 (cp. 3 Macc 2:17). Of evil tongues Hv 2, 2, 3. ἠγαλλιάσατο ἡ γλῶσσά μου my tongue exulted (the organ for the pers., cp. πούς 1b) Ac 2:26; 1 Cl 18:15 (both Ps 15:9). τὴν γ. προβάλλειν put out the tongue, hiss of a dragon Hv 4, 1, 9. fig., of forked flames Ac 2:3 (=לְשׁוֹן אֵשׁ Is 5:24; cp. En 14:9f). a body of words and systems that makes up a distinctive language, language, tongue of the language itself (Hom. et al.; PGiss 99, 9; Philo, Mos. 2, 40; Jos., Ant. 10, 8; 158; Just., D. 102, 4) Ac 2:6 v.l., 11; language λαλεῖν ἑτέραις γλώσσαις Ac 2:4. On this s. ἕτερος 2 end.; B-D-F §480, 3. of language viewed in terms of pers. using it, language, tongue: πᾶσα γ. every language=every person, regardless of the language that pers. speaks Ro 14:11; Phil 2:11 (Is 45:23; cp. POxy 1381, 198: Ἑλληνὶς δὲ πᾶσα γλῶσσα τὴν σὴν λαλήσει ἱστορίαν καὶ πᾶς Ἕλλην ἀνὴρ τὸν τοῦ Φθᾶ σεβήσεται Ἰμούθην; PGM 12, 188) IMg 10:3. As a distinctive feature of nations γ. can be used as a synonym of φυλή, λαός, ἔθνος (Is 66:18; Da 3:4, 7 al.; Jdth 3:8; AscIs 3:18) Rv 5:9; 7:9; 10:11; 11:9; 13:7; 14:6; 17:15; 2 Cl 17:4 (Is 66:18). an utterance outside the normal patterns of intelligible speech and therefore requiring special interpretation, ecstatic language, ecstatic speech, tongue, γλῶσσαι, γένη γλωσσῶν, (ἐν) γλώσσῃ/-αις λαλεῖν (λαλούντων διὰ τοῦ πνεύματος γλώσσαις Iren. 5, 6, 1 [Harv. II 334, 3]) 1 Cor 14:1–27, 39; 12:10, 28, 30; 13:1, 8; Ac 10:46; 19:6. Always without the article (in 1 Cor 14:22 αἱ is anaphoric; vs. 9 belongs under mng. 1a). There is no doubt about the thing referred to, namely the strange speech of persons in religious ecstasy. The phenomenon, as found in Hellenistic religion, is described esp. by ERohde (Psyche3 1903, Eng. tr. 1925, 289–93) and Reit- zenstein; cp. Celsus 7, 8; 9. The origin of the term is less clear. Two explanations are prominent today. The one (Bleek, Heinrici et al.) holds that γλῶσσα here means antiquated, foreign, unintelligible, mysterious utterances (Diod. S. 4, 66, 7 κατὰ γλῶτταν=according to an old expression). The other (Rtzst., Bousset et al.) sees in glossolalia a speaking in marvelous, celestial languages. On ἑρμηνεία γλωσσῶν 1 Cor 12:10 (cp. 14:26) s. ἑρμηνεία.—γλώσσαις καιναῖς λαλεῖν Mk 16:17.—On ‘speaking in tongues’ s. HGunkel, Die Wirkungen d. hl. Geistes2 1899; HWeinel, D. Wirkungen d. Geistes u. d. Geister im nachap. Zeitalter 1899; ELombard, De la Glossolalie chez les premiers chrétiens 1910; EMosiman, Das Zungenreden geschichtl. u. psychol. unters. 1911. WReinhard, D. Wirken d. hl. Geistes 1918, 120ff; KLSchmidt, Die Pfingsterzählung u. d. Pfingstereignis 1919 (against him PSchmiedel, PM 24, 1920, 73–86); HGüntert, Von der Sprache der Götter u. Geister 1921, 23ff; AMackie, The Gift of Tongues 1922; HRust, D. Zungenreden 1924; FBüchsel, D. Geist Gottes im NT 1926, 242ff; 321ff; GCutten, Speaking with Tongues 1927; IMartin, 3rd, Glossolalia in the Apostolic Church: JBL 63, ’44, 123–30; JDavies, Pentecost and Glossolalia: JTS n.s. 3, ’52, 228–31; FBeare, JBL 83, ’64, 229–46; SCurrie, Int 19, ’65, 274–94; RHarrisville, CBQ 38, ’76, 35–48; RAC XI 225–46; EDNT I 251–55.—B. 230; 1260. Frisk. DELG s.v. γλῶχες. M-M. TW. Sv. 구글 번역 γλῶσσα, etaς, ἡ (Hom.+; ins, pap, LXX, En; TestJob 43:12; Test12Patr; JosAs 13:8; GrBar 3:6; ApcSed; AscIs 3:18; Philo, Joseph., Just., 싸구려.) 언어기관, 혀 문학. (하나님께서 창세 88, 26장) 누가 16:24; 언어 기관으로 (Iambl., Vi. Pyth. 31, 195 χαλεπώτατόν ἐστιν τὸ γλώττις κρατεῖν; Did., Gen. 46, 26 ὄργανον λόγου ἐστὶν ἡ γ.) Mk 7 :33, 35; (Vi. Aesopi I G 7 P.: 이시스가 벙어리 이솝을 고침 τὸ τραχὺ τῆς γλώττις ἀποτεμοῦσα, τὸ κΩλῦον αὐτὸν λαλεῖν '말을 못하게 하는 혀의 거친 부분을 잘라냄') Lk 1: 64; 로 3:13(시 5:10; 13:3; Hes., Op. 322-26과 비교); 14:11(사 45:23); 야 1:26; 3:5f, 8 (Apion in the schol. on Od. 3, 341 κράτιστον τῶν μελῶν ἡ γλῶσσα.—JGeffcken, Kynika usw. 1909, 45–53; GAvdBergh vEysinga, NThT 20, ’31, –20). 야일서 3:18; διὰ τῆς γ. w. 혀, 즉 고전 14:9(Just., A I, 16, 8 διὰ γλώττις)을 말할 때. παύειν τὴν γ. ἀπὸ κακοῦ 혀를 금하여 악한 말을 하지 않게 하소서(베드로전서 3:10; 고전 22:3(둘 다 시 33:14). 동의어. 시 35:8(시 49:19); 계 16:10; 고전 15:4f (시 77:36; 11:4f). τὸ ἐπιεικὲς τῆς γ. 혀를 절제하라 21:7. μάστιξ γλώσσнς 책망의 말씀 56:10 (욥 5:21). 자만하는 말 57:2 (cp. 3 Macc 2:17). 악한 방언 Hv 2, 2, 3. ἠγαλλιάσατο ἡ γλῶσσά μου 내 혀가 기뻐했다(페르시아의 오르간, πούς 1b와 비교) 행 2:26; 고전 18:15(시 15:9 모두). τὴν γ. προβάλλειν는 혀를 내밀고 용의 쉭쉭 Hv 4, 1, 9. 그림, 갈래진 불꽃 행 2:3(=@@@사 5:24; cp. En 14:9f). 독특한 언어, 언어, 혀를 구성하는 단어와 체계의 집합체 (Hom. et al.; PGiss 99, 9; Philo, Mos. 2, 40; Jos., Ant. 10, 8; 158; Just., D. 102, 4) 행 2:6 v.l., 11; 언어 λαλεῖν ἑτέραις γλώσσαις 행 2:4. 이것에. ἕτερος 2 끝.; B-D-F §480, 3. 사람의 관점에서 본 언어. 그것을 사용하여, 언어, 혀: πᾶσα γ. 모든 언어=사용하는 언어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 로 14:11; 빌 2:11 (사 45:23; cp. POxy 1381, 198: Ἑλλινὶς δὲ πᾶσα γλῶσσα τὴν σὴν λαλήσει ἱστοραν καὶ πᾶς Ἕλlamnν ἀν ὴρ τὸν τοῦ Φθᾶ σεβήσεται Ἰμούθnν; PGM 12, 188) IMg 10:3. 국가의 특징으로서 γ. ϔτνος(사 66:18; 단 3:4, 7 al.; Jdth 3:8; AscIs 3:18) 계 5:9; 7:9; 10:11; 11:9; 13:7; 14:6; 17:15; 고전하 17:4(사 66:18). 이해할 수 있는 말의 일반적인 패턴을 벗어나서 특별한 해석이 필요한 발화, 황홀한 언어, 황홀한 말, 혀, γένι, γένι γλΩσσῶν, (ἐν) γλώσσῃ/-αις λαλεῖν (λαλούντΩν διὰ τοῦ πνεύματο ς γλώσσαις 아이렌 5, 6, 1 [ Harv. II 334, 3]) 고린도전서 14:1–27, 39; 12:10, 28, 30; 13:1, 8; 행 10:46; 19:6. 항상 관사가 없다(고전 14:22에서 αἱ는 비유적 표현이다; 9절은 mng. 1a에 속한다). 언급된 것, 즉 종교적 황홀경에 빠진 사람들의 이상한 말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헬레니즘 종교에서 발견되는 현상은 특히 다음과 같이 설명됩니다. ERohde(Psyche3 1903, Eng. tr. 1925, 289–93) 및 Reitzenstein 작성; CP. 셀수스 7, 8; 9. 용어의 유래는 덜 명확합니다. 오늘날 두 가지 설명이 눈에 띕니다. 한 사람(Bleek, Heinrici et al.)은 여기서 γλῶσσα가 구식의, 이질적인, 이해할 수 없는 신비한 발화를 의미한다고 주장합니다(Diod. S. 4, 66, 7 κατὰ γλῶτταν=오래된 표현에 따르면). 다른 하나(Rtzst., Bousset et al.)는 용어집에서 놀라운 천상의 언어로 말하는 것을 본다. ἑρμινεια γλΩσσῶν 고린도전서 12:10 (cp. 14:26) s. ἑρμινεια.—γλώσσαις καιναῖς λαλεῖν 막 16:17.—'방언'에 대하여. HGunkel, Die Wirkungen d. hl. Geistes2 1899; HWeinel, D. Wirkungen d. Geistes u. 디. 가이스터는 나찹이에요. Zeitalter 1899; ELombard, De la Glossolalie chez les premiers chrétiens 1910; EMosiman, Das Zungenreden geschichtl. 유. 정신병. 말하다. 1911. W라인하르트, D. Wirken d. hl. Geistes 1918, 120ff; KLSchmidt, Die Pfingsterzählung u. 디. Pfingstereignis 1919(그에 반대 PSchmiedel, PM 24, 1920, 73–86); HGüntert, Von der Sprache der Götter u. 가이스터 1921, 23ff; AMackie, 방언의 은사 1922; HRust, D. Zungenreden 1924; FBüchsel, D. Geist Gottes im NT 1926, 242ff; 321ff; GCutten, 방언으로 말하기 1927; IMartin, 3차, 사도 교회의 용어집: JBL 63, ’44, 123–30; JDavies, Pentecost 및 Glossolalia: JTS n.s. 3, ’52, 228–31; FBeare, JBL 83, ’64, 229–46; SCurrie, Int 19, ’65, 274–94; RHarrisville, CBQ 38, ’76, 35–48; RAC XI 225–46; EDNT I 251–55.—B. 230; 1260. 프리스크. DELG s.v. γλῶχες. MM. 대만. Sv. |
이 단어를 이해 하는데에서는 한국의 언어에서도 쉽게 이해 할수 있는 문장이 있다.
예를 들어 말을 함부로 하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혀를 함부로 놀리지 말라는 말을 한다.
즉 말을 할때 혀가 움직이는 상황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사도행전 2:3을 보자
본문에서 사람들이 모여 성령을 받을 때 사람들의 혀는 각기 방언(=자신들에게 속한 지역의 말들; 사투리, 지역방언)을 하였다는 것이다. 즉 이 상황을 다시 4절에서 표현해 주고 있다.
"4 그들이 다 성령의 충만함을 받고 성령이 말하게 하심을 따라 다른 언어들로 말하기를 시작하니라"
일부 사람들은 이 상황을 초자연적인 상황으로 묘사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여기서 또 다른 단어를 언급하여 보자.
![]() ὡσεί (5616, 호세이) ~인 것처럼, ~와 같이, 거의 부사 호세이(Homer. 이래)는호스( ![]() ![]() (a) '~인(이었던) 것처럼, 마치 ~처럼, ~같이', 마 3:16; 마 9:36; 눅 3:23; 행 2:3; 행 6:15; 롬 6:13; 히 1:12; 막 9:26; 눅 22:44; 눅 24:11. (b) '대략, 거의': ① 수사 앞에서: 마 14:21; 마 3:23; 마 9:14; 마 9:28; 마 22:41; 마 22:59; 마 23:44; 행 2:41; 행 10:3; 행 19:7. ② 공간의 측정 단위 앞에서: '돌 던질 만큼', 눅 22:41. (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 ὡσεί (Hom. et al.) 비교를 나타내는 마커, as, like (something) like, lit. '마치'(Hom.; Epicharmus [in CGFP 83,1 p. 55] et al.; PSI 343, 10 [256/255 B.C.]; PTebt 58, 26; LXX, En; TestSol 7:1; TestJob 30 :2; Test12Patr;, JosAs; ApcEsdr 4:29 p. 29, 4 Tdf.; 자주. w를 교환했습니다. ὡς (B-D-F §453, 3; s. Rob. 968) πνεῦμα καταβαῖνον ὡσεὶ περιστεράν 마 3:16; 누가복음 3:22 v.l.; 막 1:10 v.l.; 욥 1:32 v.l.; 개역개정 8:1. CP. 마 9:36; 행 2:3; 6:15; 9:18 v.l. (ὡς의 경우); 16:9 라; 롬 6:13; 롬 6:13; 히 1:12(시 101:27); 11:12 v.l. (ὡς ἡ의 경우); 계 1:14 v.l.; 바 6:6(시 117:12); 3, 1, 5ab; 4, 1, 6ab; 6, 2, 5. 마 28:4 v.l. (ὡς의 경우); 막 9:26; 눅 22:44 (cp. Photius, Bibl. 94 p. 74b πιπτουσι παρὰ ὁδὸν ὡσεὶ νεκροι). εἶναι ὡσει 마 28:3 v.l. (ὡς의 경우); 호 3:1f. ψαινεσθαι ὡσει τι 뭔가 그런 것 같아요. 눅 24:11. 근사값 w를 나타내는 마커. (X., Hell. 1, 2, 9; 2, 4, 25; PTebt 15, 2; 25 [기원전 114년]; Sb 5115, 4 [기원전 145년]; LXX; TestAbr A 17 p. 100에 관한 숫자 및 측정값 , 3 [Stone p. 48], EpArist 13; Jos., 12, 292) 마 14:21; 막 6:44 v.l.; 눅 9:14a; 욥 6:10 v.l. CP. 눅 9:14ab; 욥 19:39 v.l.; 행 1:15; 2:41; 4:4 v.l.; 5:36 v.l.; 19:7. ὡσεὶ μῆνας τρεῖς Lk 1:56 v.l. (ὡς의 경우). μῆνει ὡσεὶ ἕξ GJs 5:2. CP. 눅 3:23 (Boffo, Iscrizioni 193 n. 23); 9:28; 22:59; 행 19:34 v.l. ὡσεὶ ὥρα ἕκττ (시험수 8:1) 23:44; 욥 4:6 v.l. (ὡς의 경우); 19:14 v.l. (ὡς의 경우). CP. 행 10:3. ὡσεὶ στάδια δέκα Hv 4, 1, 2. Cp. 4, 2, 1. ὡσεὶ λιθου βολήν 눅 22:41.—M-M. |
![]() ![]() ὡςa: ἡμέρα κυριου ὡς κλέπτις ἐν νυκτὶ οὕτΩς ἔρχεται '주의 날이 밤에 도적 같이 오리니' 살상 5:2; γενήτΩ σοι ὡς θέλεις '네 소원대로 되리라' 마 15:28; τι ἔτι κἀγὼ ὡς ἁμαρτΩλὸς κρινομαι; ‘그러면 어찌하여 내가 아직도 죄인으로 심판을 받으리요?’ 롬 3:7. ὡσειa: εἶδεν τὸ πνεῦμα τοῦ θεοῦ καταβαῖνον ὡσεὶ περιστεράν '하나님의 성령이 비둘기 같이 내려오심을 보시더니' 마 3:16; καὶ ἐγένετο ὡσεὶ νεκρός '그리고 그가 죽은 것 같이 되었으니' 막 9:26. 5 ὡσει는 문자 그대로 ὡς와 εἰ('마치')로 구성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의미의 조건적 측면이 모두 또는 적어도 대부분 손실되었습니다. |
![]() |
![]() |
![]() 불 fire. 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명사 퓌르(Homer 이래)는 `불'을 의미한다. (a) 문자적 의미로, 퓌르는 다양한 형태들과 용례들에서 `태우는 것, 빛나는 것', 따뜻하게 하거나 뜨겁게 하는 `불'이다. 불은 유익하여 문명화시키는 힘이 되지만, 한편 파괴적이며 가공할만한 힘이기도 하다. 전쟁에서 불은 배, 도시를 파괴하고 인명을 빼앗아 가지만 산업 분야에서 불은 금속 등을 제련하는데 사용된다. (b) 전이된 의미로, 퓌르는 `폭력, 불가항력, 소원, 열망'을 의미한다. (c) 종교에서 퓌르는 희생제사의 불, 제단의 불로 사용된다. 불은 악의 세력으로부터 보호해주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페르시아 종교는 불을 예배하였다. 조로아스터교의 마즈다(Mazda)의 가르침에서 불과 뱀은 상반되는 진리와 거짓을 대표한다. (d) 헬라 세계에서 불은 세속 분야와 종교적인 분야 모두에서 사용되었다. 은유적으로 불은 격렬한 열정, 사악함 혹은 전쟁의 열기같은 가장 다양한 인간적인 체험들을 묘사하며, 동시에 무정부 상태도 불의 형태로 설명되었다. 헬라 종교에서 불은 제의적인 정화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분만이나 사망 이후의 정결 제물, 그리고 각종 정결제 등이다. 비록 장례식에 시체가 불살라졌지만, 영혼은 불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장래에도 계속 존재할 것으로 믿었다. 신들 중에서 헤파에스투스(Hephaestus)와 헤스티아(Hestia)는 불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다. 프로메데우스(Prometheus)와 헤르메스(Hermes)는 인간에게 불을 가져왔다고 한다. 프뤼타네이온(Prytaneion)에 있는 거룩하고 국가적인 노(hearth) 위에 불이 붙어 결코 꺼지지 않았다(F. Lang, TDNT Ⅵ931). 식민지 사람들은 이 노에서부터, 자신들이 토대를 세우기 시작하는 자(子) 도시의 노에 붙일 불을 취해왔다. 신들의 여러 가지 상징들 중의 하나로 간주된 불은 신의 현현(顯現)을 수반한다. 지하세계에는 불과 불의 강이 있다. 때로는 영혼이 불로 정화된다는 사상을 발견한다. 불은 신비 종교에서 정화의 목적을 위해서나 신성과(참조: A. Dietrich, TDNT) 신입자의 새로운 본성을 나타내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헬라인들은 불에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였다. 헬라 철학에서 불은 네가지(혹은 다섯가지) 요소들 중의 하나이다. 에베소의 헤라클리투스(Heraclitus of Ephesus)에 의하면, 불은 만물의 기본적인 요소라고 한다. 즉 세계는 끊임없는 변화 과정을 경험하고 신(혹은 로고스)과 동일시되는 불의 운동이다. `본래의 불에 이성이 부여되어 있고, 또 그것이 모든 세상 통치의 원인인 것처럼 인간의 영혼은 불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이러한 범신론적 체계 안에서 하나님, 불같은 우주, 우주적인 이성 그리고 인간의 영, 이 모든 것들은 하나로 간주된다. 헤라클리투스(Heraclitus)는 모든 것이 태워지고 본래의 불로 되돌아갈 때, 거대한 세계의 시대는 종말을 고하고, 그후 세계는 다시금 이 본래의 불에서 새롭게 창조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사상이 후에 다시금 스토아 학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져서 헬라 철학자들과 마찬가지로 그들도 불을 활동적인 세계의 원리, 곧 모든 것을 함께 결합시키고, 법과 이성으로 그것을 통제함으로써, 모든 것을 목적에 따라 인도하는 세계의 정신으로 보았다. 이 세계는 본래의 불이 변화되어 생성되고 그리고 일반적인 연소 과정을 거쳐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런 과정 위에서 세계의 주기가 다시금 시작된다. 인간의 혼은 신성의 일부이며, 따라서 본래 불같은 것이다. 그리고 이것도 이 세상이 불에 타서 소멸해 버릴 때, 본래의 불로 되돌아간다. 2. 70인역본의 용법 명사 퓌르는 70인역본에서 약 490회 나오며, 주로 에쉬(불, 350회)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불은 문자적, 상징적, 비유적 의미로 사용되었다. 3. 신약성경의 용법 명사 퓌르는 신약성경에서 71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 (a) 지상의 현상. 퓌르는 매우 드물게 자연 현상에 대해 사용되었다. ① 히 1:7에서 '번개'를 의미한다: "또 천사들에 관하여는 그는 그의 천사들을 바람으로, 그의 사역자들을 불꽃으로 삼으시느니라 하셨으되". ② 계 16:8에서 태양의 열을 암시한다: "네째가 그 대접을 해에 쏟으매 해가 권세를 받아 불로 사람들을 태우니". ③ 막 9:22(병행구 마 17:15)에서 집이나 일상 생활의 불을 가리킨다: "귀신이 저를 죽이려고 불과 물에 자주 던졌나이다 그러나 무엇을 하실 수 있거든 우리를 불쌍히 여기사 도와 주옵소서". ④ 눅 22:55에서 일종의 횃불을 가리킨다: "사람들이 뜰 가운데 불을 피우고 함께 앉았는지라 베드로도 그 가운데 앉았더니". ⑤ 행 28:2에서는 따뜻하게 하기 위한 불이다: "토인들이 우리에게 특별한 동정을 하여 비가 오고 날이 차매 불을 피워 우리를 다 영접하더라". ⑥ 히 11:34에서 신앙 영웅들을 처형하는 수단으로서의 불을 가리킨다: "불의 세력을 멸하기도 하며 칼날을 피하기도 하며 연약한 가운데서 강하게 되기도 하며 전쟁에 용맹되어 이방 사람들의 진을 물리치기도 하며". ⑦ 계 17:16에서 전쟁에서 싸우고 파괴하는 무기로서의 불을 가리킨다: "네가 본바 이 열 뿔과 짐승이 음녀를 미워하여 망하게 하고 벌거벗게 하고 그 살을 먹고 불로 아주 사르리라". ⑧ 계 8:5에서는 하늘의 제단의 불이 언급되어 있다: "천사가 향로를 가지고 단 위의 불을 담아다가 땅에 쏟으매 뇌성과 음성과 번개와 지진이 나더라". (b) 비유적인 용법. ① 불은 최후 심판의 상징이다. 열매 맺지 않는 나무(마 3:10; 병행구 눅 3:9; 마 7:19), 쭉정이(마 3:12; 눅 3:17), 가라지들(마 13:40), 열매 맺지 않는 포도나무의 가지(요 15:6)를 불사르는 것이다. ② 약 5:3에서는 상징과 실재가 밀접하게 섞여 있다: "너희 금과 은은 녹이 슬었으니 이 녹이 너희에게 증거가 되며 불같이 너희 살을 먹으리라 너희가 말세에 재물을 쌓았도다". ③ 벧전 1:7에서 잠 17:3의 시험의 불이 고난에서 희망과 신앙을 지키는 것에 적용되고 있다: "너희 믿음의 시련이 불로 연단하여도 없어질 금보다 더 귀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실 때에 칭찬과 영광과 존귀를 얻게 하려 함이라". ④ 계 3:18에서 참된 부요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내가 너를 권하노니 내게서 불로 연단한 금을 사서 부요하게 하고 흰 옷을 사서 입어 벌거벗은 수치를 보이지 않게 하고 안약을 사서 눈에 발라 보게 하라". ⑤ 약 3:5에서 불은 혀의 파괴적 세력을 가리킨다: "이와 같이 혀도 작은 지체로되 큰 것을 자랑하도다 보라 어떻게 작은 불이 어떻게 많은 나무를 태우는가". ⑥ 눅 12:49에서 불화(불일치)의 불을 가리킨다: "내가 불을 땅에 던지러 왔노니 이 불이 이미 붙었으면 내가 무엇을 원하리요". 어떤 주석자들은 여기에 "불"을 성령의 불 또는 새 믿음의 불이라고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불화나 분쟁의 불로 해석한다. (c) 신학적 용법. 1) 신현현 때의 불. ① 행 7:30에서 스데반은 떨기나무에 붙었던 불을 상기시킨다: "사십 년이 차매 천사가 시내산 광야 가시나무떨기 불꽃 가운데서 그에게 보이거늘"(참조: 출 3:2). ② 히 12:18에서 시내산에서 하나님의 자기 계시를 언급한다: "너희의 이른 곳은 만질만한 불 붙는 산과 흑운과 흑암과 폭풍과". 2) 하나님의 심판의 수단으로서의 불. ① 눅 9:54에서 세베대의 아들들은 예수님께서 영접치 않은 사마리아 고을에 불을 내리도록 자신들에게 허용해 주기를 원했다(참조: 왕하 1:10; 왕하 1:12). 눅 17:29은 창 19:24을 상기시킨다: "롯이 소돔에서 나가던 날에 하늘로서 불과 유황이 비오듯하여 저희를 멸하였느니라". ② 불은 요한계시록에서 종말론적 심판을 상징한다. 계 8:7에서 불과 우박은 일곱번째 재앙을 상기시킨다: "첫째 천사가 나팔을 부니 피섞인 우박과 불이 나서 땅에 쏟아지매 땅의 삼분의 일이 타서 사위고 수목의 삼분의 일도 타서 사위고 각종 푸른 풀도 타서 사위더라". 계 8:8에서 암시는 화산 혹은 별에 관한 것이다: "둘째 천사가 나팔을 부니 불붙는 큰 산과 같은 것이 바다에 던지우매 바다의 삼분의 일이 피가 되고". 계 9:17-18의 말들은 불을 토한다: "17 이같이 이상한 가운데 그 말들과 그 탄 자들을 보니 불빛과 자주빛과 유황빛 흉갑이 있고 또 말들의 머리는 사자 머리 같고 그 입에서는 불과 연기와 유황이 나오더라 18 이 세 재앙 곧 저희 입에서 나오는 불과 연기와 유황을 인하여 사람 삼분의 일이 죽임을 당하니라". 계 11:3에서는 하나님의 불이 두 증인들을 보호한다: "내가 나의 두 증인에게 권세를 주리니 저희가 굵은 베옷을 입고 일천 이백 육십 일을 예언하리라". 마지막 날에는 거짓 선지자들이 불을 하늘로부터 내려오게 한다. 계 14:18에서 불의 천사가 심판을 집행하기 위하여 나타난다: "또 불을 다스리는 다른 천사가 제단으로부터 나와 이한 낫 가진 자를 향하여 큰 음성으로 불러 가로되 네 이한 낫을 휘둘러 땅의 포도송이를 거두라 그 포도가 익었느니라 하더라". ③ 불은 바울 서신의 세 가지 실례에서 최후 심판을 나타낸다(고전 3:13; 고전 3:15; 살후 1:8; 롬 12:20). -고전 3:13에서 마지막 심판의 불은 그리스도인들이 행한 공력 가치 및 질을 밝힐 것이다. 건축에 사용된 재료의 '성질, 즉 어떠한 것'임을 불이 시험하듯이 그 공력을 시험할 것이라는 것이다. 그 공력의 질이 낮으면 불타버릴 것이다. -고전 3:15에서 바울은 그 공력이 불타 없어질 사람을 가리켜 말한다. 특히 사역자들을 가리키는데 그들은 많은 일을 한 것 같으나 아무런 영혼도 구원의 길로 인도하지 못하며, 인격을 함양시키지도, 은혜 가운데서 성장시키지도 못한 사람이다. 그들은 단지 불가운데서 얻는 것 같이 간신히 구원을 받을 것이다. -살후 1:7에서 예수님은 불과 함께 나타나실 것이다. 이것은 심판의 불이다. -롬 12:2에서 바울은 보복의 단념에 대한 권고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잠언을 인용한다(잠 25:21-22). 이 개념은 우리가 선을 행하는 것으로써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지만, 그러나 "숯불"이란 문구는 만일 원수들이 변화된 마음을 갖고 반응하지 않는다면 그들 위에 임할 최후 심판에 대한 이차적인 언급을 수반하는 것이다. ④ 신약성경의 다른 책들. -히 12:29에서 불은 최후 심판의 불이다: "우리 하나님은 소멸하는 불이심이니라". -계 20:9에서 하나님은 최후 전쟁에서 곡과 마곡에게 불같은 심판을 하실 것이다: "저희가 지면에 널리 퍼져 성도들의 진과 사랑하시는 성을 두르매 하늘에서 불이 내려와 저희를 소멸하고". -벧후 3:7에서 홍수가 처음 세상을 뒤덮었던 것과 같이 최후의 대화재가 현 세상 질서를 종결지을 것이다: "이제 하늘과 땅은 그 동일한 말씀으로 불사르기 위하여 간수하신 바 되어 경건치 아니한 사람들의 심판과 멸망의 날까지 보존하여 두신 것이니라". 3) 신약성경에서 불은 종종 지옥의 불이다. ① 예수님의 말씀 속에서 퓌르는 바실레이아(나라) 혹은 조에(생명)의 반대어이다(마 13:42; 마 18:8-9; 막 9:43). 막 9:49은 사 66:24을 인용한 것이며, 막 9:43의 "꺼지지 않는 불"의 배경을 이룬다(참조: 마 18:8의 "영원한 불"). ② 유 1:7에서 소돔과 고모라의 거민들은 이미 지옥불의 형벌을 받는다. 또한 유 1:23에서 "불에서 끌어내라"는 금언은 지옥불로부터 구원하라는 것을 나타낸다. ③ 요한계시록에서 불과 유황은 영원한 형벌을 가리킨다(계 14:10). 계 20:3에서 지옥은 끝없이 깊은 구렁이며, 계 19:20; 계 20:10; 계 21:8에서는 불의 호수이다. 이 영상은 사해의 현상들로부터 유래된 것이 분명하다. ④ 두 가지의 상징적 표현. -마 3:11, "나는 너희로 회개케 하기 위하여 물로 세례를 주거니와 내 뒤에 오시는 이는 나보다 능력이많으시니 나는 그의 신을 들기도 감당치 못하겟노라 그는 성령과 불로 너희에게 세례를 주실 것이요". 요한은 메시야께서 실행하실 성령과 불의 세례(침례)(마 3:11)를 기대하며 "죄 사함을 받게 하는 회개의 세례"(막 1:4)를 시행하였다. 사 4:2-5과 말 3:1-6은 이러한 메시야의 세례(침례)가 하나님의 백성을 정련하고 그들이 천국에 들어올 수 있는 자격을 주는 것이나 이에 참여하지 못할 악한 자들을 소멸하는 일반 심판의 상징이었음을 시사한다. -막 9:49, "사람마다 불로서 소금 치듯함을 받으리라". 여기에서 소금과 불은 하나의 수수께끼 같은 말 안에서 서로 결합된다. 소금은 정화하고 보존하고 맛을 내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불은 하나님의 심판의 형상이다. 하나님과 친교를 가지려는 사람은 자신을 부인함으로써 옛 사람을 심판에 넘겨주어야 한다. 만일 어떤 사람이 그런 일을 하고 싶어하지 않는다면, 그는 종말론적인 진노의 심판을 면하지 못한다. (d) 하늘의 영광의 표시 요한계시록에서 불은 하늘의 영광을 상징한다. -계 1:14; 계 2:18에서 영화롭게 된 예수님의 눈은 마치 불꽃 같았다. -계 10:1에서 천사들은 불기둥과 같은 발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천사들의 영광을 나타낸다. -계 4:5에서 불은 일곱 등불들을 하나님의 일곱 영들과 동등시했을 때 하늘의 영광을 나타낼 것이다: "보좌로부터 번개와 음성과 뇌성이 나고 보좌 앞에 일곱 등불 켠 것이 있으니 이는 하나님의 일곱 영이라". -하나님의 보좌 앞의 유리 바다(계 4:6)는 성전의 주조(鑄造)한 바다에 대한 하늘의 대응물이다(왕상 7:23); 이 바다는 계 15:2에서 불과 혼합되었다. -행 2:3에서 불로 비유되는 성령은 천상적 기원을 가진 강림하는 성령이다. 대개 불은 신약에서 심판을 상징하지만, 하나님의 심판과 영광은 병행한다. (참조: F. Lang). G4442 * πυ̑ρ (pur) 불 pur H217 * אוּר ('ûr) 불꽃, 화염 pur H784 * אֵשׁ ('ēš) #esh (very freq.) 불 pur H1200 * בְּעֵרָה (bəʿērāh) beerah 불태움, 불 pur H3827 * לַבָּה (labbāh) labbah 불꽃 pur H3852 * לַהֶבֶת לֶהָבָה (laheḇeṯ lehāḇāh) lehavah 불꽃, 날, 끝 pur H5135 * נוּר (nûr) nur 불 fire pur H7565 * רֶשֶׁף (rešep̄) resheph 불꽃, 섬광, 전광 pur H8316 * שְׂרֵפָה (śərēp̄āh) serephah 불태움 burning ![]() |
이 "불"을 의미하는 단어를 의미적 개념에서 심판으로 번역할 수도 있겠지만, 문장에서 표현하고자하는 의미를 살린다면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뜨거움을 뜻하는 "불"이란 단어 자체로도 휼륭한 번역이 아닐까 싶다.
다음의 글들은 구글의 AI 지니가 설명하는 글들이다.
헬라어 스트롱 번호 5616번 호세이(χōseí) 단어가 사도행전 2장 3절에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1. 사도행전 2장 3절의 맥락
사도행전 2장 3절은 성령이 사도들에게 임한 사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에서 호세이 단어는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습니다:
> "그러자 불의 혀와 같은 것이 그들 위에 나타나 각자의 머리 위에 앉았다. 그리하여 그들은 모두 성령으로 가득充滿하니, 각자가 다른 나라 사람들의 언어로 말하기 시작하였다." (사도행전 2:3, 개역성경)
>
2. 호세이 단어의 의미
호세이는 **'신성하다', '거룩하다', '존경받는다', '신비롭다', '고귀하다', '위대한'**와 같은 의미를 가진 다의적인 단어입니다. 이 구절에서 호세이 단어는 성령이 사도들에게 임함으로써 그들이 하나님의 거룩한 능력으로 가득 찬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3. 성령으로 가득充滿된다는 의미
"성령으로 가득充滿된다"라는 표현은 사도들이 성령의 능력과 임재를 강하게 경험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그들이 새로운 언어를 말하고 기적을 행하는 능력을 얻게 되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4. 다른 나라 사람들의 언어로 말하기 시작하다
사도들이 다른 나라 사람들의 언어로 말하기 시작한 것은 성령의 역사를 보여주는 기적적인 사건입니다. 이는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전파될 것을 예표하는 사건이었습니다.
5. 종속 접속사로서의 역할
이 구절에서 호세이 단어는 종속 접속사로서 "각자가 성령으로 가득充满하니"라는 부사절을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6. 결론
사도행전 2장 3절에서 호세이 단어는 성령의 거룩하고 신성한 능력이 사도들에게 임하여 그들이 변화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전파될 것을 예표하는 중요한 사건임을 강조합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참고:
* 성경 공부를 더 자세히 하려면 성경 석학의 해석서나 신학 교재를 참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온라인 성경 사이트를 통해 성경 본문을 검색하고 다양한 번역본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
'말씀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에 표현되는 복수형 "하늘"에 대한 이야기들.. (1) | 2024.06.14 |
---|---|
다윗은 하늘에 올라가지 못하였으나(행 2:34) "οὐ γὰρ Δαυεὶδ ἀνέβη εἰς τοὺς οὐρανούς," (0) | 2024.06.12 |
ἐπὶ τὸ αὐτό 용법에 대하여 (0) | 2024.06.09 |
"명하노니"와 "증언하노니"의 번역 차이 (0) | 2024.06.02 |
가죽으로 가죽을 바꾸오니 (1) | 2024.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