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이면 또한 상속자 곧 하나님의 상속자요 그리스도와 함께한 상속자-. [롬 8:17]

말씀노트 21

ἐπὶ τὸ αὐτό 용법에 대하여

ἐπὶ τὸ αὐτό  는 전치사 + 관사 + 관계대명사의 형식을 가진다. 한글 성경들에서는 문장에서 관계되어지는 형태에 따라 상황이나 장소를 지칭하는 것 같다.  위의 용례를 다시 한글 성경에서 보면 아래와  같다. 1) 마태복음 22:34에서는 αὐτό 를 관계대명사로 사용하여 문장 안에서 사람을 가리키는 지시 형식으로 사용되었다.2) 누가복음 17:35의 본문을 보자. 35 두 여자가 함께 맷돌을 갈고 있으매 하나는 데려감을 얻고 하나는 버려둠을 당할 것이니라 눅 17:35의 본문에서는 ἐπὶ τὸ αὐτό  문법의 형식은 관계대명사이지만 지시사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ἐπὶ τὸ αὐτό의 번역을" 거기서 함께"로 번역하였다. 여기서 지시사로 사용한 것은 34절의 내용과 관계지어 해석한 것 ..

말씀노트 2024.06.09

"명하노니"와 "증언하노니"의 번역 차이

1 하나님 앞 과 살아있는 자와 죽은 자를 심판 하실 그리스도 예수 앞에서 그가 나타나실 것과 그의 나라를 두고 엄히 명하노니 (딤후 4:1) 1 Διαμαρτύρομαι οὖν ἐγὼ ἐνώπιον τοῦ θεοῦ, καὶ τοῦ κυρίου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τοῦ μέλλοντος κρίνειν ζῶντας καὶ νεκρούς, κατὰ τὴν ἐπιφάνειαν αὐτοῦ καὶ τὴν βασιλείαν αὐτοῦ, (1263, 디아마르튀로마이)  증거하다, 고소하다, 탄원하다. 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동사 디아마르튀로마이(Xen., Pla. 이래)는 증인으로 소환하다,  단언하다, 확언하다)에서 유래했으며, (a)  '증인으로 소환하다', (b)  '진지하게(엄숙하게) 증언하..

말씀노트 2024.06.02

가죽으로 가죽을 바꾸오니

사탄의 두번째 시험 (욥 2:3)1 또 하루는 하나님 의 아들들이 와서 여호와 앞에 서고 사탄도 그들 가운데에 와서 여호와 앞에 서니 2 여호와께서 사탄 에게 이르시되 네가 어디서 왔느냐 사탄이 여호와께 대답하여 이르되 땅을 두루 돌아 여기 저기 다녀 왔나이다 3 여호와께서 사탄에게 이르시되 네가 내 종 욥을 주의하여 보았느냐 그와 같이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자가 세상에 없느니라 네가 나를 충동하여 까닭없이 그를 치게 하였어도 그가 여전히 자기의 온전함을 굳게 지켰느니라 4 사탄이 여호와께 대답하여 이르되 가죽으로 가죽을 바꾸오니 사람이 그의 모든 소유물로 자기의 생명을 바꾸올 지라 5 이제 주의 손을 펴서 그의 뼈와 살을 치소서 그리하시면 틀림없이 주를 향하여 욕하지 않겠나이..

말씀노트 2024.04.14

사본대조> 아말렉과 "싸우고"

8 그때에 아말렉이 와서 이스라엘과 르비딤에서 싸우니라 9 모세가 여호수아 에게 이르되 우리를 위하여 사람들을 택하여 나가서 아말렉과 싸우라 내일 내가 하나님의 지팡이를 손에 잡고 산 꼭대기에 서리라 10 여호수아가 모세의 말 대로 행하여 아말렉과 싸우고 모세와 아론과 훌은 산 꼭대기에 올라가서 11 모세가 손을 들 면 이스라엘이 이기고 손을 내리 면 아말렉이 이기더니 12 모세 의 팔이 피곤하매 그들이 돌을 가져다가 모세의 아래에 놓아 그가 그 위에 앉게 하고 아론과 훌이 한사람은 이쪽에서 한사람은 저쪽에서 모세의 손을 붙들어 올렸더니 그 손이 해가 지 도록 내려오지 아니 한지라 13 여호수아가 칼 날로 아말렉과 그 백성을 쳐서 무찌르니라 14 여호와께서 모세 에게 이르시되 이것을 책에 기록하여 기념하..

말씀노트 2024.02.05

창 1:9-13 셋째 날의 창조

9 하나님이 이르시되 천 하의 물이 한 곳 으로 모이고 뭍이 드러나라 하시니 그대로 되니라 10 하나님이 뭍을 땅 이라 부르시고 모인 물을 바다 라 부르시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  뭍을 땅이라고 칭고  => 물에게 땅이라 칭시고( kjv역본에서는  And caIIed)- 물들이 모인 곳에는 바다들이라 부르셨다.- 그리고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11 하나님이 이르시되 땅은 풀과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물들 맺는 나무를 내라 하시니 그대로 되어12 땅이 풀과 각기 종류대로 씨 맺는 채소와 각기 종류대로 씨 가진 열매 맺는 나무를 내니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13 저녁이 되고 아침이 되니 이는 셋째 날이니라 (창 1:9-13)

말씀노트 2024.01.28

야곱의 꿈과 벧엘

야곱의 이야기본문 뒤집어 생각하기.. 1) 잠에서 깨어 .... 꿈을 꾼 것인가 환상을 본 것인가? 2) 야곱이 세운 돌이 기둥이되고, 기름을 붓고... => 돌이 기둥이 될수 있을까 베개로 삼은 돌은 얼마나 크길래. 3) "벧엘"이라 이름을 정하고..(이 성의 옛 이름은 루스)=> 벧엘은 성터 였을까? 4) 과연 그곳에 하나님이 계시게 되었는가? => 이 부분은 생각해 보자 들어가는 말 : 야곱이 형 에서의 축복을 가로채서 화가난 형을 피해 하란(삼촌 라반에게)으로 가는 길에 꾼 꿈이다. 그가 꿈에 여호와를 만나고 야곱에게 약속하시는 장면이 나타난다. 여기서 생각해 볼 부분이 있다. 야곱은 이 사건 이전에는 하나님을 만나지 못했다는 건가? 아니면 여호와를 믿고 믿음의 생활을 이어갔다는 건가? 그리고 그..

말씀노트 2024.01.27

독서 요약> 구약에서 제사의 목적과 위치

성육신의 관점에서 본 성경 영감설 중에서... p129 4) 제사에 관한 율법 제사 제도는 가인가 아벨의 이야기 (창 4:4)와 아브라함의 이야기 (창 15:9-10)까지 거슬러 올라 간다. 이스라엘에게 제사에 관한 어떤 특정한 계명이 주어지기 전인 출애굽기 23장 18절에서도 제사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 출 27:1-8, 레 1:7) 구약성경은 제사가 이스라엘을 구성하는 일부임을 가르치고 있다. 시내산 계시는 이스라엘의 제사제도를 고대근동 이웃의 제사제도와 구분시켜 줄 특별한 금기나 의무를 제도화 하는 것이었다. 이 제도를 지키지 않는 사람에게는 무서운 형벌이 기다리고 있었다. 제사의 목적은 백성의 죄 문제를 다루는 것, 다시말해 그들의 죄를 대속하는 것이었다. 무의식적으로 죄를 지었어도 사람들은 ..

말씀노트 2024.01.21

시편 40:1-8 다윗의 시, 인도자를 따라 부르는 노래〕

1​ ​לַמְנַצֵּחַ לְדָוִד מִזְמֽוֹר ׃ 2​ ​קַוֺּה קִוִּיתִי יְהוָה וַיֵּט אֵלַי וַיִּשְׁמַע שַׁוְעָתִֽי ׃ 3​ ​וַיַּעֲלֵנִי ׀ מִבּוֹר שָׁאוֹן מִטִּיט הַיָּוֵן וַיָּקֶם עַל ־ סֶלַע רַגְלַי כּוֹנֵן אֲשֻׁרָֽי ׃ 4​ ​וַיִּתֵּן בְּפִי ׀ שִׁיר חָדָשׁ תְּהִלָּה לֵֽאלֹהֵינוּ יִרְאוּ רַבִּים וְיִירָאוּ וְיִבְטְחוּ בַּיהוָֽה ׃ 5​ ​אַשְֽׁרֵי הַגֶּבֶר אֲשֶׁר ־ שָׂם יְהֹוָה מִבְטַחוֹ וְֽלֹא ־ פָנָה אֶל ־ רְהָבִים..

말씀노트 2024.01.07

창세기 26장 1절 분해 및 원문 주석

1) 본문 문맥 보기 창 26장의 사전의 배경은 아브라함때( Gen 12:10 ) 기근이 들어 애굽땅으로 내려 갔었다. 이삭의 때도 흉년이 들어 애굽으로 가려하는 상황을 묘사하며 여호와 하나님의 등장으로 사건을 전개해 나간다. 여기서 사용된 "흉년"이란 단어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1절에서는 흉년이란 단어를 언급하고 2절에서는 여호와께서 이삭에게 내가 네게 지시하는 땅에 거주하라 명하신다. 그리고 3절- 이 땅에 거류하면서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게 복을 주고 모든 땅을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라 아버지 아브라함에게 맹세한 것을 이루어 네 자손을 하늘의 별같이 번성케하며 4절 "네 자손을 하늘의 별과 같이 번성하게 하며 이 모든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니 네 자손으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

말씀노트 2024.01.04

창 1:2 땅이 <혼돈> H8414 하고

) וְהָאָרֶץ הָיְתָה תֹהוּ וָבֹהוּ וְחֹשֶׁךְ עַל־פְּנֵי תְהֹום וְרוּחַ : 한글 성경에서는 혼돈, 광야, 헛된 것, 사악한 들, 거친 들, 허공, 약탈을 당한, 황야, 혼란, 빈 것, 허망으로 번역되어 사용됨. BDB 사전에서는 - Original: תּהוּ - Transliteration: Tohuw - Phonetic: to'-hoo - Definition: 1. formlessness, confusion, unreality, emptiness a. formlessness (of primeval earth) 1. nothingness, empty space b. that which is empty or unreal (of idols) (fig) ..

말씀노트 2024.01.04